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64)
김해 상동 강변매화축제 (2025. 03.) 김해 상동 강변매화축제  제3회 김해 상동 강변매화축제가 2025년 3월 8일부터 9일까지 김해시 상동면 용당나루 매화공원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 축제는 '용당나루'와 김해시화인 '매화'를 널리 알리기 위한 행사로, 다양한 문화공연과 부대행사가 함께 진행되었습니다 축제 주요 내용- 공연: 대포천사람들 극단, 상동면 풍물단, 상동면민 공연 등 주민 참여 공연과 함께 김해 읍면동 협조 공연, 네팔민의 국제공연이 추가되어 프로그램이 더욱 풍성해졌습니다 - 장소 의미: 용당나루 매화공원은 지난 2년간의 축제를 통해 지역의 새로운 명소로 부상하고 있으며, 매화 개화 시기가 아닐 때도 방문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축제의 영향이봉수 주민자치회장은 이번 축제를 통해 용당나루 매화공원이 김해시의 대표적인 힐링 장소 중 하..
밀양향교 (2025. 03.) 밀양향교  밀양향교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에 위치한 전통적인 교육 및 제사 공간으로, 조선시대에 설립된 유교 교육 기관입니다. 향교는 지역 사회의 유교 문화를 전파하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밀양향교는 그 중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이곳은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아 많은 방문객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1. 역사적 배경밀양향교는 1398년(태조 7년)에 설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선시대 유교의 중심지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향교는 지역 주민들에게 유교 교육을 제공하고, 성현에 대한 제사를 지내는 장소로 사용되었습니다. 밀양향교는 특히 유교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지역 사회의 도덕적 가치와 윤리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2. 건축 및 구조밀양향교는 전통적인 ..
통도사 홍매화, 자장매가 활짝 피기 시작했네요 (2025.03.09.) 자장매는 통도사의 상징적인 매화나무로, 역사적, 문화적, 그리고 종교적 의미를 지닌 중요한 존재입니다. 수령이 약 370~380년으로 추정되는 고목입니다1650년 전후에 통도사의 스님들이 사찰을 창건한 자장율사의 뜻을 기리기 위해 심었다고 전해집니다자장율사의 호를 따서 '자장매'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통도사 영각 앞에 위치하며, 매년 가장 먼저 봄을 알리는 매화로 유명합니다진분홍빛의 홍매화로, 매서운 추위를 이겨내고 피어나 수행자의 정신을 상징하고영각의 단청과 문살이 어우러져 독특한 아름다움을 자랑합니다 매년 많은 사진작가와 방문객들이 자장매를 보기 위해 통도사를 찾습니다통도사의 봄을 알리는 전령이자, 불교적 수행과 정진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통도사의 중요한 문화적 자산입..
밀양향교 홍매화 (2025.03.01) 밀양향교2025.03.01.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 214호로 영남지방을대표하는향교이다.향교 뒤뜰에 매화꽃 꽃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했어요대나무숲 돌담과 함께 단 한그루 매화나무작고 여린 핑크색 매화송이가너무 고귀한 모습으로 방긋 웃어요.
서천갯벌과 장항송림 (2025. 02.) 서천 갯벌서천 갯벌은 서천군의 해안 지역에 위치하며, 세계적으로 중요한 생태적 가치를 지닌 곳입니다. 이 지역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후보지로 선정되었으며, 그 이유는 이곳이 다양한 해양 생물들의 서식지이자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이기 때문입니다.서천 갯벌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생태적 다양성: 서천 갯벌은 다양한 식물, 해양 동물, 조류들이 살아가는 중요한 서식지입니다. 이곳의 갯벌은 조개, 게, 새우, 해초 등 다양한 생물들이 자생하고 있어,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입니다.철새 도래지: 서천 갯벌은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로, 매년 겨울철새들이 이곳에 머물며 번식하거나 에너지 보충을 위해 쉬고 갑니다. 두루미, 기러기, 검은머리물떼새 등 다양한 철새들이 서천 갯벌을 방문합니다.갯벌 체험: 이곳은..
철새도래지 서천 봉산저수지 (2025. 02.) 서천 철새도래지 봉선저수지(舒川 鳳仙貯水池)는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 위치한 중요한 자연 생태 공간으로, 철새들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이자 서식지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봉선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 외에도 수많은 철새들에게 중요한 휴식처를 제공하며, 다양한 생태적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많은 철새들이 이곳을 찾아와, 그 자연적, 생태적 가치가 크게 부각되는 지역입니다.1. 봉선저수지의 자연적 특성봉선저수지는 약 1,000만 톤 이상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대형 저수지로, 서천군 장항읍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저수지는 그 크기와 깊이 덕분에 풍부한 수자원을 제공하며, 인근 농업 지역에 중요한 농업용수를 공급합니다. 그러나 봉선저수지의 진정한 가치는 단순히 수자원을 넘어, 그 주변의 생태적..
서천 이하복고택 (2025. 02.) 서천 이하복고택(徐川 李下福古宅) 이하복고택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위치한 전통적인 고택으로, 한국 전통 건축의 중요한 사례이자, 지역 문화유산으로서 큰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고택은 이씨 가문이 거주하던 집으로, 그 역사적, 문화적 가치로 인해 현재까지 잘 보존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 고택을 통해 조선 시대의 건축과 생활을 엿볼 수 있습니다.1. 고택의 건축 양식서천 이하복고택은 전통적인 한국 건축 양식을 충실히 따르며, 특히 'ㄱ'자형 배치가 특징적입니다. 이 고택은 안채, 사랑채, 대문채 등 다양한 공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공간은 기능과 역할에 따라 구분됩니다.안채는 주로 가정의 중심이 되는 공간으로, 가족들이 생활하는 곳입니다. 안채는 대개 침실, 부엌, 식사 공간 등으로 구..
통도사에 홍매화(자장매) 10송이가 피었네요 (2025.02.22.) 통도사에는 이름난 홍매 세 그루가 있다.극락전 옆에 두 그루가 있고, 영각 앞에 한 그루가 자라고 있다.극락전 옆 두 그루 중 하나는 매우 연한 분홍색(홑겹 담홍매),하나는 진한 분홍색(여러겹 만첩홍매)이다.영각 앞의 매화는 둘을 섞은 듯 중간 분홍색을 띤다. 영각 앞의 한 그루의 매화나무가 바로 ‘자장매’(慈藏梅)다.통도사를 창건한 자장율사의 법명에서 비롯했다.수령 370년 정도다. 자장매의 유래는 이렇다.임진왜란 후 통도사 중창에 나선 우운대사가1643년 대웅전과 금강계단을 축조하고,참회하는 마음으로 불타버린 역대 불교계 스승의 영정을 모시는영각을 건립한다. 상량보를 올리고 낙성을 마치니 마당에 홀연히 매화 싹이 자라나해마다 음력 섣달에 연분홍 꽃을 피웠다.사람들이 이를 통도사를 창건한 자장율사의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