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에
Hue
평화의 도시 후에
후에는 ‘평화의 도시’라는 뜻의 딴 호아(Than Hoa)로 불렸으며,
베트남 마지막 왕조인 응우옌 왕조(1802~1945)의 수도가 된 이후부터
현재의 지명이 되었다.
그러나 베트남 전쟁 당시 남베트남과 북베트남의 최대 격전지가 되어
왕도 대부분이 황폐해졌다.
1990년대 들어 지방 정부가 후에의 가치를 자각하기 시작해
관광지로 개발하기 시작했으며,
1993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록되었다.
1687년 후에에서 5km 북동쪽에 있는 바오 빈(Bao Vinh) 마을에
도시의 성곽이 건설된 이후 1744년 응우옌 씨(阮氏)를 가문으로 하는
남베트남의 수도가 되었다.
1802년 프랑스의 도움으로 응우옌 왕조를 건국한 쟈롱 황제가
후에를 수도로 정하였다.
1885년 프랑스는 통킹 지역에 대한 종주권을
왕실로부터 거부당하자 후에를 포위했다.
프랑스 측 자료에 따르면 3일간 지속된 후에 공격에서 왕궁 장서각을 파괴했고,
고가의 귀중품을 훔쳤다고 한다.
또한, 베트남 전쟁 당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이 차례로 후에를 탈환하면서
무고한 국민들이 살해되는 살육의 현장이 되기도 하였다.
후에는 베트남에서 유일하게 유적지 관광이 가능한 도시이며
그래서 입장료가 가장 많이 들어가는 도시이기도 하다.
후에는 흐엉 강(Song Huon)을 사이에 두고 북쪽의 구시가지와 남쪽의 신시가지로 나뉘며
짱띠엔 다리와 푸쑤언 다리가 양쪽을 잇는다.
구시가지에는 왕궁 등 응우옌 왕조의 유적지가 있고 동 바 시장이 있다.
신시가지에는 호텔, 레스토랑, 토산품점, 여행사가 밀집되어 있다.
흐엉 강을 따라 남쪽으로는 역대 황제들의 무덤이 있는데,
후에의 여행사 투어 프로그램에 참가하면 보트를 타고 이곳을 쉽게 둘러볼 수 있다.
또는 자전거를 타고 둘러볼 만한 거리이다.
출처: https://arky7.tistory.com/3524 [(주)건축사사무소 아라가야:티스토리]
후에 왕궁
Hue Grand Palace, <베>Dai Noi Hue
왕의 거주지, 커다란 궁전 다이 노이
1805년 자롱 황제의 명에 의해 건설되기 시작하여
1832년 민 망(Minh Mang) 황제 시기에 완성되었다.
왕궁은 흐엉 강 북쪽을 향하고 있으며 면적은 5.2km2이며,
프랑스 건축가인 바우 반(Vauban)의 설계에 따라
프랑스식과 베트남식 건축 양식이 혼합되어 건축되었다.
왕궁의 성벽은 방어벽, 왕 거주지, 뚜 깜 딴(Tu Cam Thanh) 등 총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어벽 길이는 총 9,950m, 두께는 21m에 달하며 총 10개의 문이 있다.
현재 여행객을 위해 2개의 문을 개방하고 있다.
왕의 거주지인 흐엉 딴(Hoang Thanh)은
커다란 궁전이란 의미로 다이 노이(Dai Noi)라고 부른다.
실제로 왕궁이라 하면 여기서부터를 말한다.
남문인 응오 몬(정오), 북문인 호아 빈(평화), 동문인 히엔 논, 북문인 추엉 득이 있다.
응오 몬이 왕궁의 정문으로 다섯 개의 문 중 중앙 문은
왕만이 출입할 수 있었다고 한다.
웅장한 규모를 자랑하지만, 대부분 구역이 현재는 폐허로 변해 버렸다.
여행자 거리에서 걸어서 20분 정도 소요된다.
‘뚜 깜 딴’은 총 1,225km에 달하며 7개의 문이 있고,
왕과 왕실 가족이 거주한 곳이다.
1968년 폭격으로 완전히 폐허가 되었으며 현재는 농지로 사용되고 있다.
당시에 뚜 깜 딴은 외부 세계와 단절된 곳으로 믿어져 왔다.
출처: https://arky7.tistory.com/3524 [(주)건축사사무소 아라가야:티스토리]
태화전
자금성을 모델로 만들어진 곳
중국 자금성을 모델로 1803년 완공되었으며
응오 몬을 따라 들어가면 첫 번째로 만나게 되는 건물이다.
황제의 즉위식이나 국빈 영접이 이곳에서 거행되었다.
총 면적은 1,300km2이며 중앙당의 길이는 43.3m,
높이는 30.3m에 달한다.
태화전은 두 개의 당으로 나눠지는데 후방 중앙으로
황제가 앉았던 옥좌가 있다.
출처: https://arky7.tistory.com/3524 [(주)건축사사무소 아라가야:티스토리]
탁월한 보편적 가치
후에 기념물 단지는
베트남의 지리적 중심지에 있는 Thua Thien-Hue 지방의 후에시와
그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다에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서기 1802년 통일 베트남의 수도로 세워진 후에(Hue)는
1802년부터 1945년까지 베트남 역사의 마지막 왕조인 응우옌 왕조(Nguyen Dynasty)의
정치적, 문화적 종교적 중심지였습니다.
새로운 수도의 계획은 고대 동양 철학에 따라 이루어지며
현장의 물리적 조건을 존중했습니다.
응우빈산(Ngu Binh Mountain, 로얄 스크린으로 알려짐)과
도시를 가로지르는 향강(Perfume River)은 이 독특한 봉건 수도에
위대한 자연의 아름다움을 선사할 뿐만 아니라 상징적인 중요성을 정의합니다.
이 장소는 기념물 앞의 보호 스크린을 나타내는 언덕 또는
왼쪽의 "청룡"과 오른쪽의 "백호"의 역할을 하는 등 정문을 보호하고
사악한 영혼의 침입을 막는 자연적 특징의 조합으로 선택되었습니다.
이 풍경 안에는 도시의 주요 특징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색조 기념물 단지의 구조는
부지의 자연 환경 내에 신중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5 가지 기본 포인트 (중앙, 서쪽, 동쪽, 북쪽, 남쪽),
5 가지 요소 (흙, 금속, 나무, 물, 불) 및
5 가지 색상 (노란색, 흰색, 파란색, 검정색, 빨간색)과 우주론적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중앙 구조는 17 세기와 18 세기 동안 남부 베트남의 행정 중심지였던
후에 성채 지역입니다.
후에 성채 내에는 제국의 행정 및 군사 기능뿐만 아니라
황실 거주지, Hoang Thanh (제국 도시), Tu Cam Thanh (자금성 보라색 도시) 및
관련 왕궁이 있습니다.
쩐 빈 다이(Tran Binh Dai)는
수도의 북동쪽 모퉁이에 있는 추가 방어 시설로,
강의 이동을 통제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또 다른 요새인 쩐하이탄(Tran Hai Thanh)은
바다로부터의 공격으로부터 수도를 보호하기 위해
조금 후에 건설되었습니다.
수도 외곽에는 중요한 기념물이 몇 군데 있습니다.
외곽 지역에는 Van Mieu (문학 사원),
Dan Nam Giao (하늘과 땅에 대한 희생의 산책로), Ho Quyen (왕실 지역),
Den Voi Re (포효하는 코끼리 사원), Chua Thien Mu (천상의 여탑)와 같은
왕조의 영적 생활과 관련된 중요한 의식 장소가 있습니다.
더 상류에는 향수 강을 따라 왕조의 황제들의
무덤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색조 기념물 단지는 19 세기 초반에
비교적 짧은 기간에 완전히 방어 된 수도를 계획하고 건설 한
놀라운 예입니다.
도시 배치와 건물 디자인의 무결성은
동아시아의 후기 봉건 도시 계획의 예외적 인 표본이됩니다.
(글 출처 - 훼 기념물 단지(Complex of Hué Monuments)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센터 (unesco.org))
티엔무 사원(Thien Mu Pagoda)
티엔무 사원은 베트남 중부 후에(Hue) 시에 위치한
중요한 불교 사원 중 하나로, 베트남의 불교 역사와 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사원의 이름인 '티엔무'는 하늘(티엔), 여인(무)을 의미하며,
향강 쪽에 위치한 사원이므로 아름다운 경관과 더불어
다양한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사원의 중심에는 7층 탑인 이 있다
이 탑은 1844년에 티에우 트리(Tieu Tri) 황제에 의해 세워졌으며,
각 층마다 불교 경전과 불상이 모셔져 있다
이 탑은 베트남에서 가장 오래된 탑 중 하나로,
후에의 상징적인 구조물로 여겨지고 있다
오늘날 티엔무 사원은 후에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꼭 방문하는 명소 중 하나로 유명하다
사원의 아름다운 건축물과 평화로운 분위기는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고 있는데,
특히, 향강을 따라 보트를 타고 사원에 도착하는 일정은 매우 인기가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 경로를 통해 사원을 방문하기도 한다
사원 내부에는 다양한 불교 미술품과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티엔무 사원은 틱꽝득 스님이
불교 탄압 정책에 맞서 소신공양을 하기 전
주지로 있었던 곳이었다
사원 뒤쪽에 스님이 소신공양을 하러 갈 때 타고 갔던 파란색 차와
소신공양 분신자살 사진이 전시되어 있다
틱꽝득 스님은 7세에 출가해서
31개의 절을 세우고 평생 독재와 외세에 맞서 싸우다
1963년 66세에 소신공양으로 일생을 거둔 베트 남 불세출의 큰스님이며,
틱낫한 스님의 스승이다
당시 남베트남의 대통령이었던 응오딘지엠이
불교 탄압 정책과 독재 정치를 펼치며
불교 신자를 강제로 가톨릭으로 개종시키고
승려들의 반발을 무차별 진압하는 일이 벌어졌다
틱꽝득 스님은 계속되는 불교 탄압 정책에 맞서,
1963년 6월 11일 사이공에서 소신공양을 감행 했다
온몸이 화염에 휩싸였음에도 가부좌 자세를 유지했고,
숨을 거두는 순간까지도 비명조차 지르지 않았다
이후 8시간 동안이나 화장했지만
그의 심장은 타서 사라지지 않았다고 한다
카이딘 황제릉
Tomb of Khai Dinh , Lang Khai Dinh
카이딘 황제(1916~1925)의 묘지로서
다른 왕릉이 중국식으로 조성되었다면 이 왕릉은 베트남과
유럽풍 건축 양식이 인상적이다.
즉 이 시기에 들어 건축 기법에 있어서도
프랑스의 영향이 확산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1920년~1931년까지 12년에 걸친 공사 끝에 완공되었고,
흐엉 강을 따라 남쪽으로 10km 지점에 있는
짜우 추(Chau Chu) 마을에 위치한다.
왕릉 입구에 서면 가장 먼저 유럽 고딕 양식이 시선을 압도한다.
용이 새겨진 난간 사이로 36계단을 오르면
말, 코끼리, 문 · 무관 석상이 세워진 뜰에 다다른다.
거기서 다시 26계단을 오르면 중앙으로
황제의 위업을 기리는 2층짜리 팔각형의 사당이 있고,
양쪽으로 유럽식의 높은 탑이 서 있다.
계단을 통해 위로 올라가면 3개의 홀로 나눠진
떼인 딘(Thein Dinh)이라는 건물에 도착한다.
내부 벽과 천장은 도자기와 유리로 모자이크 장식을 해 두어
서양 건물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옥좌에는 청동에 금박을 입힌 1톤 무게의 카이딘 황제상이 있고,
그 밑에 황제의 유체가 안치되어 있다.
[Travel Tip] 왕릉 여행 노하우!
불행히 베트남 전쟁 중 폐허가 된 왕릉도 있으나
뜨 득 황제, 카이딘 황제, 민 망 황제릉은 상대적으로 보존 상태가 좋아
여행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이 무덤들은 후에 소재 여행사들의 보트를 이용한
1일 투어 상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모든 왕릉은 입장료가 있다.
다른 왕릉도 둘러보고 싶다면 자전거나 오토바이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다니는 것이 강변과 농촌의 경관도 볼 수 있고 가격도 저렴하다.
단, 떠나기 전에 물과 간식 등을 챙겨야 한다.
시외로 나가면 살 만한 곳이 없다.
* 왕릉 개방 시간 : 6:00~17:00
(글 출처 - ENJOY 베트남 | 넥서스)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호이안 바구니배. 야시장 -4 (2024. 06.) (7) | 2024.07.16 |
---|---|
베트남 다낭 바나힐 -3 (2024. 06.) (2) | 2024.07.16 |
베트남 다낭 - 1 (2024. 06.) (1) | 2024.07.15 |
완도 장보고박물관 (2024. 03.) (1) | 2024.03.08 |
청도 정월대보름 '달집 태우기' 행사 (2024. 02.) (1) | 2024.02.27 |